NWC에서 푸가(Fugue) 작곡 시도하기
푸가(Fugue)는 바로크 음악의 꽃이라고 불리며, 대위법의 극치를 보여주는 형식입니다. 🎼 바흐(J.S. Bach)의 푸가가 대표적이죠. 푸가는 하나의 주제를 여러 성부가 차례로 모방하면서 진행되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데, 이번 글에서는 **NWC(Notation Composer)**를 활용해 퓨가를 작곡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.
1) 푸가의 기본 구조
푸가는 보통 3~4 성부 이상으로 쓰이며,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전개됩니다.
- 주제(Subject): 퓨가의 핵심 선율.
- 응답(Answer): 다른 성부가 주제를 모방.
- 카운터 서브젝트(Counter-subject): 주제와 함께 어울리는 보조 선율.
- 에피소드(Episode): 주제를 변형·발전시키는 부분.
- 스트레토(Stretto): 주제가 짧은 간격으로 겹쳐 등장.
- 코다(Coda): 마무리.
👉 NWC에서는 각 성부를 독립 스태프로 입력해 이러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.
2) 주제(Subject) 만들기
- 길이는 보통 1~2마디.
- 뚜렷하고 기억하기 쉬운 리듬/선율.
- 음역은 각 성부에서 자연스럽게 소화 가능한 범위.
🎶 예시 (C minor):
- 주제: C – D – Eb – F – G – Ab – G – F – Eb – D – C
👉 주제는 푸가 전체의 ‘씨앗’이 되므로 단순하면서도 특징적이어야 합니다.
3) 응답(Answer)과 카운터 서브젝트
- 응답(Answer): 주제를 완전 5도 위/아래에서 모방.
- 카운터 서브젝트: 응답과 동시에 어울리는 보조 선율.
예시:
- Sop: C minor 주제.
- Alto: G minor로 응답, Sop은 카운터 서브젝트 연주.
4) 에피소드(Episode) 작성
- 주제 일부를 변형해 연결 구간 작성.
- 순차 진행(Sequence), 전조(Modulation) 활용.
- 새로운 성부가 합류하는 준비 단계.
👉 NWC에서는 에피소드 구간에서 전조 기능을 사용해 다양한 조성을 실험할 수 있습니다.
5) 스트레토(Stretto) 기법
- 두 성부가 짧은 시간 차이로 주제를 연주.
- 곡의 긴장감과 밀도를 높이는 핵심.
🎶 예시: Sop이 주제를 시작 → 한 마디 뒤 Alto가 같은 주제 시작.
6) 푸가 작성 순서 (NWC 활용)
- 주제 작성: 1성부에서 간결한 선율 입력.
- 응답 추가: 다른 성부가 5도 위/아래에서 모방.
- 카운터 서브젝트 작성: 응답과 동시에 어울리도록.
- 에피소드 작성: 주제 일부를 변형해 연결.
- 스트레토 적용: 주제를 겹쳐서 배치.
- 마무리 코다 작성: 조성 안정.
👉 NWC 공식 사이트에서 성부별 입력 기능을 활용하세요.
7) 자주 하는 실수
- 주제 과복잡: 너무 긴 주제는 응답과 카운터 서브젝트와 어울리기 힘듦.
- 병행 5도/8도 남발: 대위법 규칙 위반.
- 음역 겹침: 각 성부 구분이 안 됨.
- 전조 과다: 지나친 전조는 곡의 중심을 잃게 함.
8) 연습 루틴
- C Major/C minor에서 간단한 주제 작성.
- 응답을 5도 위/아래에서 모방.
- 카운터 서브젝트 작성.
- 에피소드 4마디 작성.
- 스트레토 적용 → 긴장감 확인.
- 전체 16마디 푸가 작성.
👉 IMSLP – 바흐 푸가 악보를 참고해 보세요.
마무리
푸가는 복잡해 보이지만, 사실은 주제와 응답을 모방하면서 점차 발전시키는 과정입니다.
🎶 NWC에서 성부를 나누어 입력하고 직접 들어보면, 푸가의 논리적인 아름다움과 긴장감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.
작은 주제로 시작해 2성 푸가 → 3성 → 4성으로 확장해 가며 연습해 보세요.
2025.09.01 - [음악·작곡정보] - 🎶화음(코드)의 기초 – 음악의 뼈대를 만드는 소리
🎶화음(코드)의 기초 – 음악의 뼈대를 만드는 소리
🎶 화음(코드)의 기초 – 음악의 뼈대를 만드는 소리우리가 좋아하는 노래를 연주하거나 작곡 프로그램에서 코드를 입력하다 보면, “C, G, Am, F” 같은 기호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. 이게 바로 **
g-supporthosting.co.kr
2025.09.12 - [음악·작곡정보] - 케이팝 작곡에서 다이내믹(Dynamics) 활용법
케이팝 작곡에서 다이내믹(Dynamics) 활용법
케이팝 작곡에서 다이내믹(Dynamics) 활용법케이팝을 들어보면 한 곡 안에서도 소리가 크고 작아지며 감정의 파도가 일렁이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. 🎶 바로 이 효과를 만드는 게 **다이내믹(Dynamic
g-supporthosting.co.kr
2025.09.28 - [생활·IT정보] - 💻 노트북 선택 가이드-대학생·직장인·크리에이터 맞춤형 추천
💻 노트북 선택 가이드-대학생·직장인·크리에이터 맞춤형 추천
💻 노트북 선택 가이드-대학생·직장인·크리에이터 맞춤형 추천(대학생 · 직장인 · 크리에이터 맞춤형 추천)🌟 왜 노트북 선택이 어려울까?요즘 노트북은 종류가 너무 많아서 고르기가 쉽지
g-supporthosting.co.kr
'음악·작곡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즈 코드와 보이싱 NWC로 표현하기 (2) | 2025.10.04 |
---|---|
NWC에서 합창곡 편곡 – SATB 구조와 보이싱 기법 (0) | 2025.10.04 |
NWC로 대위법 작곡하기 (Counterpoint Writing) (0) | 2025.10.04 |
NWC에서 관현악 편곡하기 – 파트별 오케스트레이션 기초 (0) | 2025.10.04 |
케이팝 편곡에서 스트링 활용법 (1) | 2025.10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