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음악·작곡정보

10주차 – 나만의 프로젝트 & 완성곡 발표

by 모든 정보 알리미 2025. 8. 3.
반응형

10주차 – 나만의 프로젝트 & 완성곡 발표

10주차 – 나만의 프로젝트 & 완성곡 발표

 

완성곡 발표: ‘처음부터 끝까지 내 손으로’의 경험

“내가 정말 곡을 완성할 수 있을까?”

NWC를 비롯한 작곡 프로그램의 사용법, 악보 입력법, 코드와 화음, 다양한 악기와 표현 기호, 믹싱까지 실습하며 한 단계씩 성장해온 지금,
드디어 마지막 목표가 남았습니다.
바로 **‘나만의 곡’**을 직접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해보는 것.
하지만 막상 빈 악보를 펼치고 “자, 이제 혼자 곡을 만들어 보세요”라고 하면

  • “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?”
  • “내가 이걸 끝까지 다 완성할 수 있을까?”
  • “누가 내 음악을 들어주기나 할까?”
    이런 두려움과 걱정이 앞서기 마련입니다.

한 번도 끝까지 만들어 본 적 없는 ‘나만의 곡’

입문자 대부분이 실제로 겪는 마지막 벽은
‘곡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’ 완성해본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.
중간까지 따라는 가보지만,

  • 아이디어가 막히거나
  • 한 부분에서 입력이 어려워서
  • ‘이 정도면 됐지’ 하며 중도 포기
    하는 일이 반복됩니다.
    특히, 완성한 곡을 남에게 공개하거나 피드백을 받는 일도 처음엔 쉽지 않죠.

하지만
**“처음부터 끝까지 곡을 완성해내는 경험”**이 바로 ‘진짜 1인 작곡가’로 거듭나는 첫걸음입니다.


1. 완성곡 만들기 – 전체 흐름을 잡는 법

① 시작은 단순하게:
빈 악보에 한 음, 한 마디씩 넣어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.
모티브가 없으면, 좋아하는 멜로디, 따라 해보고 싶은 코드 진행을 참고해도 좋습니다.

② 전체 구조 미리 그리기:

  • 도입(인트로)
  • 본곡(Verse, 후렴)
  • 전환(브릿지)
  • 마무리(엔딩)
    종이·노트에 ‘대략적인 흐름’만 잡아도 실제 입력이 훨씬 쉬워집니다.

③ 기능 총동원:
앞서 배운

  • 멜로디/코드/화음
  • 2성부/합주
  • 다양한 악기 조합
  • 볼륨/팬 조정, 표현 기호(스타카토/크레센도/악상)
  • 트랜스포즈(조성 바꾸기), 템포 변화
    등을 원하는 만큼 활용해, 자신만의 색깔을 입힙니다.

④ 끝까지 입력, 중간 포기는 금지:
막히는 부분이 나오면

  • 곡 구조를 바꿔보거나
  • 한 박자 쉬어가는 부분을 추가
  • 임시로라도 ‘빈 마디’를 남겨서
    일단 마지막 마디까지 곡을 ‘뚫어’ 봅니다.

2. 미디 파일로 내보내기 – 내 곡이 ‘실제로’ 울린다

  • 작곡 프로그램에서 ‘내보내기’(Export) 기능으로 미디(MIDI) 파일을 저장합니다.
  • 완성된 악보도 PDF·이미지로 저장해두면 좋습니다.
  • 미디 파일을 다양한 플레이어(예: VLC, 미디플레이어, 스마트폰 앱)로 직접 들어보고, 부족한 부분을 반복 수정해보세요.
  • 처음에는 서툴러도, 내 음악이 실제로 울리는 순간의 성취감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습니다.

3. 곡 해설(소개) 쓰기 – 내 음악에 스토리를 입히자

곡 해설이란?
단순히 ‘어떤 곡이다’ 설명하는 것을 넘어서

  • 곡을 쓴 의도
  • 영감이 된 경험
  • 만들 때 느낀 감정
  • 곡에서 가장 신경 쓴 부분
    등을 솔직하게 담아보는 글입니다.

곡 해설 예시:

“이 곡은 봄날 공원 산책에서 영감을 받아 썼습니다.
잔잔한 멜로디와, 중간에 밝게 변화하는 코드 진행을 통해
자연의 생동감과 일상의 평온함을 담고자 했습니다.
엔딩 부분은 일부러 템포를 늦추고, 크레센도로 감정을 끌어올린 뒤
조용히 마무리하여 여운이 남도록 만들었습니다.”

곡 해설을 쓰면

  • 내 곡을 ‘객관적으로’ 바라보게 되고
  • 청자(블로그, 친구, 밴드 단체방 등)가 곡의 분위기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.

4. 남들과 공유하고, 피드백 받아보기

완성된 곡을

  • 블로그/티스토리/네이버 포스트
  • 카페, 커뮤니티, 유튜브/쇼츠
  • 학교·동아리 단체방, 작곡 모임
    에 직접 올려보세요.

첨부 방법:

  • 악보 이미지를 캡처하여 첨부
  • 미디(MIDI) 또는 MP3 파일을 업로드
  • 곡 해설을 짧게 덧붙이면 피드백이 더욱 구체적으로 돌아옵니다.

처음엔 두려울 수 있습니다.
“내 곡이 부족하면 어떡하지?”,
“누가 내 음악을 신경이나 쓸까?”
이런 걱정이 들지만,
공유와 피드백 경험을 통해

  • 내 곡의 장점과 단점 파악
  • 새로운 아이디어/동기 부여
  • 같은 취미를 가진 친구/지지자와의 만남
    등, 음악가로서 진짜 성장을 하게 됩니다.

5. 마무리: 1인 작곡가로 첫발을 내딛다

이제 당신은

  • 악보 입력
  • 화음/코드/표현 기호
  • 앙상블/합주 편곡
  • 믹싱, 트랜스포즈
    등 모든 실전 능력을 체험한
    ‘1인 작곡가’입니다.

음악을 끝까지 완성해본 경험,
남들과 나누고 피드백을 받아본 경험,
직접 곡에 해설을 써본 경험이
앞으로 더 많은 작품을 만드는 자신감이자,
음악 인생의 든든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.


6. 실전 연습 과제 & 동기부여

  1. 나만의 곡(또는 좋아하는 곡의 리메이크)을
    • 처음부터 끝까지 완성 악보 + 미디 파일로 만들어 제출해보세요.
  2. 블로그, 커뮤니티, 단체방 등에 올려서
    • 댓글, 피드백, 응원을 받아보세요.
  3. **곡 해설(소개)**을 직접 써서
    • 곡에 담긴 생각, 영감을 짧게 표현해보세요.

TIP
  • 처음 완성한 곡이 부족해 보여도 괜찮습니다.
  • 두 번째, 세 번째 곡부터는 아이디어, 구조, 편곡, 완성도가 빠르게 늘어납니다.
  • ‘부족함’이 아니라 ‘성장 과정의 증거’임을 꼭 기억하세요.
  • 내 음악을 세상에 선보인 순간, 이미 당신은 작곡가입니다!

예시 이미지

  • 완성된 악보 전체 화면
  • 미디 파일로 내보내 재생하는 플레이어
    “아래는 나만의 완성곡 악보와 미디 플레이어 화면입니다.”

이제,
설렘을 가지고
‘음악 인생의 첫 완성작’을 세상에 선보이세요.
누구보다 소중한, 당신만의 첫 음악이 탄생하는 순간입니다!

 
 
 
 
 
반응형